출산은 가정에 큰 기쁨을 주지만, 산후조리 비용은 경제적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.
성남시는 이러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산후조리비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성남시에 거주하는 산모라면 경기도에서 지원하는 산후조리비 지원사업과 별도로 소득 기준이 맞으면 추가로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.
지원대상 및 지원금액이 얼마인지 확인하여 혜택 받으시기 바랍니다.
이 글에서는 성남시의 산후 조리비 신청 방법 및 지원 대상, 소득기준, 지원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.
성남시 산후조리비 지원 대상
- 거주 기준: 출생일 기준 6개월 전부터 성남시에 주민등록을 두고, 신청일 현재 거주하는 부 또는 모. (외국인 산모도 지원 가능하나 부모중 한명은 대한민국 국적이어야 함)
- 소득 기준: 기준중위소득 80% 이하 출산 가구.
성남시 산후조리비 소득 기준
가구원 수 | 월 소득 기준 |
---|---|
2인 가구 | 3,147,000원 |
3인 가구 | 4,021,000원 |
4인 가구 | 4,879,000원 |
5인 가구 | 5,687,000원 |
6인 가구 | 6,452,000원 |
7인 가구 | 7,191,000원 |
8인 가구 | 7,930,000원 |
성남시 산후조리비 지원 내용
- 경기도 지원: 모든 출산 가정에 지역화폐로 50만 원 지원.
- 성남시 추가 지원: 기준중위소득 80% 이하 가구에 최대 50만 원 현금 지원.
성남시 산후조리비 신청 방법
- 신청 기간: 영아 출생일 기준 6개월 이내.
- 신청 장소: 산모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.
제출 서류
- 신청인 및 배우자의 신분증
- 신청서 및 개인정보 수집·이용 동의서
- 주민등록등본 및 초본
-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
- 산후조리원 본인부담금 납부 영수증
- 신청인 통장 사본
FAQ
Q1: 지원 대상이 아니어도 경기도 산후조리비 50만 원을 받을 수 있나요?
네, 경기도 산후조리비 지원은 소득과 관계없이 모든 출산 가정에 지역화폐로 50만 원이 지급됩니다.
Q2: 지원금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나요?
경기도 지원금은 지역화폐로 지급되며, 해당 지역의 지역화폐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성남시 추가 지원금은 현금으로 지급되며, 산후조리원 비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Q3: 신청 기간을 놓쳤을 경우 어떻게 하나요?
신청 기간은 영아 출생일 기준 6개월 이내입니다. 기간을 놓쳤을 경우 지원을 받을 수 없으므로, 기간 내에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Tags:
국가및지자체 지원